채널 리포트.
사실 구글애널리틱스에서 가장 기본 중에 기본 보고서이지 싶습니다. 가장 많이 보기도 하고요.
본 보고서를 통해 어떤 소스에서 얼마나 유입되었는지, 이탈했는지, 얼마나 전환이 있었는지 확인이 가능합니다.
사실 이 보고서만으로도 네이버, 페이스북 등에서 제공하는 기본 통계프로그램 정도의 역활을 어느정도 해낼 수 있을 만큼 자주 보고 또 활용하는 보고서 입니다.
GA를 첨 접하시면 이 리포트부터 보면 됩니다. 네이버 애널리틱스(GA에 비하면 애널리틱스라 부르기 민망한 수준이지만)에 가장 유사한 리포트이겠네요.
그래서 본 보고서를 통해 구글애널리틱스 리포트의 기본 형태에 대해 안 짚고 넘어갈 수 가 없습니다.

① 보고서에 디폴트로 정해진 Metric Group*이로 표현됩니다. 디폴트 외 것을 보기 원하면 Customize을 통해 나만의
리포트를 만들어서 바꿀수 있습니다. (*표시는 맨 밑에 정의 참조)
② 그래프가 표현되는 영역이며, 교차해서 보고자하는 하는 측정항목(Metric) 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. 이것은 바로 위에 ①에서 정의한
Metric을 따르게 됩니다.
③ 보고서에 디폴트로 정해진 측정기준(Dimension)입니다. 마찬가지로 디폴트 외 보기 원하면 Customize을 통해 바꿀수 있습니다.
④ 좌측의 select box를 통해 ② 에 해당 Dimension을 그릴 수 (plot) 있으며, Secondary Dimension을 통해 교차해서
분석할 수 있고 Sort할 수 있습니다.
⑤ 실제 기본이 되는 Dimension이고 클릭하면 드릴다운(하위 상세로 진입)하여 상세 내용을 볼 수 있습니다.
⑥ 찾고자하는 Dimension이나 Metric을 검색 할 수 있으며 정규식을 통해 정교하게 구성하여 리포트를 구성할 수 있습니다.
좌측은 만들어진 그래프 형태로 보여줍니다. 라인, 파이, 막대 그래프 등
Default Channel Grouping을 보면 각 유입채널들이 나오는데 어떤 유형으로 가장 많이 유입되었는지를 보면서,
우리 웹사이트가 어디에서 유입에 강점이 있고 어디에 약점이 있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.
각 채널을 클릭하게 되면 드릴다운 되면서 좀 더 깊은 다음의 Dimension으로 상세분석하게 됩니다.
사용하다보면 좀더 정밀하게 보고플 때는 Customization 보고서나 Filter & Segment를 이용하게 됩니다.
위 둘은 유저에 입맛에 맞게 리포트를 정교화 한다고 보면 됩니다.
필터링 분석과 세그먼트 분석이으로 정교화하게 되는 거죠.
채널 리포트.
사실 구글애널리틱스에서 가장 기본 중에 기본 보고서이지 싶습니다. 가장 많이 보기도 하고요.
본 보고서를 통해 어떤 소스에서 얼마나 유입되었는지, 이탈했는지, 얼마나 전환이 있었는지 확인이 가능합니다.
사실 이 보고서만으로도 네이버, 페이스북 등에서 제공하는 기본 통계프로그램 정도의 역활을 어느정도 해낼 수 있을 만큼 자주 보고 또 활용하는 보고서 입니다.
GA를 첨 접하시면 이 리포트부터 보면 됩니다. 네이버 애널리틱스(GA에 비하면 애널리틱스라 부르기 민망한 수준이지만)에 가장 유사한 리포트이겠네요.
그래서 본 보고서를 통해 구글애널리틱스 리포트의 기본 형태에 대해 안 짚고 넘어갈 수 가 없습니다.
① 보고서에 디폴트로 정해진 Metric Group*이로 표현됩니다. 디폴트 외 것을 보기 원하면 Customize을 통해 나만의
리포트를 만들어서 바꿀수 있습니다. (*표시는 맨 밑에 정의 참조)
② 그래프가 표현되는 영역이며, 교차해서 보고자하는 하는 측정항목(Metric) 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. 이것은 바로 위에 ①에서 정의한
Metric을 따르게 됩니다.
③ 보고서에 디폴트로 정해진 측정기준(Dimension)입니다. 마찬가지로 디폴트 외 보기 원하면 Customize을 통해 바꿀수 있습니다.
④ 좌측의 select box를 통해 ② 에 해당 Dimension을 그릴 수 (plot) 있으며, Secondary Dimension을 통해 교차해서
분석할 수 있고 Sort할 수 있습니다.
⑤ 실제 기본이 되는 Dimension이고 클릭하면 드릴다운(하위 상세로 진입)하여 상세 내용을 볼 수 있습니다.
⑥ 찾고자하는 Dimension이나 Metric을 검색 할 수 있으며 정규식을 통해 정교하게 구성하여 리포트를 구성할 수 있습니다.
좌측은 만들어진 그래프 형태로 보여줍니다. 라인, 파이, 막대 그래프 등
Default Channel Grouping을 보면 각 유입채널들이 나오는데 어떤 유형으로 가장 많이 유입되었는지를 보면서,
우리 웹사이트가 어디에서 유입에 강점이 있고 어디에 약점이 있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.
각 채널을 클릭하게 되면 드릴다운 되면서 좀 더 깊은 다음의 Dimension으로 상세분석하게 됩니다.
사용하다보면 좀더 정밀하게 보고플 때는 Customization 보고서나 Filter & Segment를 이용하게 됩니다.
위 둘은 유저에 입맛에 맞게 리포트를 정교화 한다고 보면 됩니다.
필터링 분석과 세그먼트 분석이으로 정교화하게 되는 거죠.